총1034건 103 / 207 (pages)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8일 상장회사회관에서 '중견기업 ESG 경영 도입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제1회 키포인트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최근 경영계 최대 화두로 급부상한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에 대한 중견기업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진행한 세미나에는 안병옥 경농 부사장, 진병욱 동아엘텍 부사장, 이화세 인텍전기전자 부사장 등 중견기업 임직원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세미나는 삼정KPMG 이동석 전무와 장성원 상무의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ESG 경영 패러다임 대응을 위한 녹색 전환 전략'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진행됐습니다.이동석 전무는 올해 4월 정부가 발표한 ESG 정보 공시 의무화 방안을 소개하고, 경영진의 ESG 성과를 신용평가등급·주주총회 등에 반영한 해외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 중견기업에 맞는 CEO 주도 ESG 경영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했습니다.장성원 상무는 공식적인 기업 평가 지표로서 ESG 경영 성과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국내외 기업 사례에 기반한 단계·유형별 ESG 추진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발행일 2021-03-29
반원익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이 18일 호텔프리마에서 열린 '제1회 GBA 리스 포럼'에서 '한국의 중견기업'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2019년 11월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라는 비전 아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사단법인으로 설립된 GBA(Global Business Alliance)는 60여 개국의 기업인, 외교관, 상무관 등 250여 명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비즈니스 협력 플랫폼입니다.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준수해 진행된 포럼 현장에는 30여 개국의 기업인, 정부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반원익 상근부회장은 대한민국 중견기업을 대변하는 유일한 법정 경제단체로서 중견련의 역할과 활동,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이끌 핵심 주역인 중견기업의 가치와 비전을 소개했습니다.오시난 GBA 회장은 "중견련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토대로 한국 중견기업과 GBA 회원 간 시너지를 일으키는 데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습니다.반원익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은 전체 기업의 0.7%, 5,007개에 불과하지만 전체 매출의 15.7%, 고용의 14.3%, 수출의 17.3%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라면서,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해외 시장 진출 및 확대를 위해 GBA와 공고한 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발행일 2021-03-26
경기 회복에 대한 중견기업계의 기대감이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25일 발표한 '2021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2021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5.0p 상승한 89.5를 기록,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20년 1분기의 86.7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중견련은 2월 24일부터 3월 10일까지 자동차 등 12개 업종의 500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제조업 부문 경기전망지수는 자동차, 1차 금속 업종을 중심으로 호전돼 전분기 대비 8.3p 상승한 90.1을 기록했습니다. 비제조업 부문 전망지수는 2.8p 소폭 증가한 89.0로 확인됐습니다.2020년 4분기 101.9에서 지난 1분기 85.7로 모든 업종 중 가장 크게 하락한 자동차 업종 전망지수가 92.0으로 반등했고, 1차 금속 업종 지수는 91.5로 전분기 대비 두 자리 수(12.0)의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중견련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월 자동차 산업 월간 동향'에서 보듯 전년 동기 대비 생산 37.9%, 내수 24.2%, 수출 35% 등 자동차 산업 실적이 회복되면서 자동차 및 연관 산업인 1차 금속 업종의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습니다.매출 전망은 내수전망지수가 전분기 대비 3.5p 증가한 89.8, 수출전망지수가 8.6p 오른 91.4를 기록하면서 3분기 연속 동반 상승했습니다.제조업 부문에서는 식음료 업종(78.1, 11.9p↓)의 하락에도 1차 금속 업종(95.7, 21.5p↑)의 전망치가 크게 상승하면서 내수전망지수가 전분기 대비 8.2p 오른 92.1을 기록했습니다.운수 업종(80.3, 16.2p↓) 악화와 부동산·임대 업종(100.0, 14.3p↑) 상승이 교차한 비제조업 부문 내수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0.1p 상승한 87.9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19.5p 상승한 화학 업종(93.3)을 선두로 전체 8.6p 오른 91.4를 기록했습니다.내수 및 수출 개선 전망에도 제조업 부문 업종의 영업이익전망지수는 1차 금속 업종(92.1, 19.4p↑)을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습니다.비제조업 부문에서는 부동산·임대(97.9, 14.0p↑) 등 운수 업종(80.3) 이외 모든 업종의 영업이익전망지수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제조업생산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8.4p 증가한 94.1로 조사됐습니다. 1차 금속(95.1, 14.0p↑), 자동차(98.0, 9.9p↑) 등 코로나19로 수요가 대폭 감소한 식음료 업종(84.4, 3.1p↓)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상승했습니다.생산설비가동률전망도 식음료(76.6, 1.8%p↓) 이외의 모든 업종에서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체 수치는 전분기 대비 2.1%p 오른 77.7%를 기록했습니다.생산설비투자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9.8p 상승한 97.6으로 화학(105.9, 24.9p↑), 1차 금속(95.7, 10.9p↑) 업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중견기업의 경영애로요인은 '내수부진(55.2%)', '업체 간 과다경쟁(37.4%)', '인건비 상승(36.4%)', '원자재·재료 가격 상승(25.6%)' 등 순으로 조사됐습니다.전자부품 업종에서는 '인건비 상승(40.0%)'을, 화학 업종에서는 '원자재·재료 가격 상승(52.9%)'을 최대 경영애로요인으로 꼽았습니다.반원익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을 회복한 중견기업계의 경기 전망은 결코 꺼뜨려서는 안 될 희망의 불씨"라면서, "기업규제3법을 포함해 기업 활력을 떨어뜨리는 법·제도의 합리적 개선은 물론 디지털 혁신, 사업재편 및 전환 등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중견기업의 자구 노력을 뒷받침할 과감한 정책 혁신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21-03-25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이 1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제4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등 정부, 경제단체, 수출 유관기관, 수출 기업 관계자와 대학생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습니다.코로나19 상황에서도 지난해 11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한 수출 성과를 공유하고, 대한민국 무역 구조의 양적·질적 성장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였습니다. 정세균 총리는 관계부처 합동 '미래 성장 동력 확충 및 무역 구조 혁신 전략'을 발표하고, 2025년 수출 7,000억 달러 달성, 2030년 수출 4강 도약을 비전을 세웠습니다.정부는 수출 상품 고도화를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등에 2025년까지 5조 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하고, 콘텐츠, 디지털 서비스, 헬스케어, 에듀테크, 핀테크, 엔지니어링 등 6대 K-서비스 부문에 20조 원 이상의 무역 금융을 지원할 예정입니다.1,500억 원 규모의 수출 혁신 펀드를 조성해 중견·중소기업 수출 플랫폼을 확대하고, 수출·입 물류 민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합니다. 기업인들의 출·입국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단기 해외 출장 기업인들에게 우선적으로 코로나19 예방 접종을 실시합니다.강호갑 회장은 "중견기업은 전체 기업의 0.7%에 불과하지만, 전체 수출의 17.2%, 고용의 14.3%, 매출의 15.7%를 감당하는 한국 경제의 '허리'"라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대내외 경기 침체에도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 노력으로 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은 매년 상승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강 회장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재도약을 이끌 기업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백신 접종 완료 입국 기업인 자가 격리 면제' 등 기업 지원 제도 추진에 속도감을 높여 달라"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21-03-15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2월 25일 상장회사회관 대강당에서 '2021년 중견기업 해외 진출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진행된 세미나에는 김용수 네패스 전무, 노진형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부사장, 박동현 하이랜드푸드 이사 등 중견기업 임직원 4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세미나는 한국무역협회 FTA종합지원센터의 '중견기업 해외 진출 전략', 관세법인씨티엘의 '세계 시장의 거대한 흐름, 메가 FTA 활용 방안' 주제 발표와 에스비티엠의 해외 출입국 지원 서비스 소개로 구성했습니다.장성훈 FTA종합지원센터 관세사는 협정별로 규정이 달라 FTA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컨설팅·교육·사후 검증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FTA 활용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업종별 활용 방안을 안내했습니다. 이태준 관세법인씨티엘 팀장은 국제 무역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2021년 글로벌 통상 전망을 공유하고, 지난해 11월 타결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중심의 메가 FTA 활용 노하우를 설명했습니다. 중견련과 '중견기업 해외 출입국 지원 서비스'를 공동 운영하는 에스비티엠의 송민호 세일즈팀장은 안전 이동 시스템 PITCO(Protocol for International Travel amidst COVID-19 Outbreak) 기반 출입국 전 과정 지원 서비스 활용 방안을 소개했습니다.
발행일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