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1027건 30 / 206 (pages)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중견기업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애로 해소 방안 모색에 나섰습니다.중견련은 22일 중견련 대회의실에서 반도체, 의약품, 금속, 기계 등 업종별 수출 우수 중견기업을 초청해 '수출 중견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중견기업의 수출 애로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습니다.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개최한 '간담회'에는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과 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관, 김관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수출기업실장, 김병유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본부장을 비롯해 주성엔지니어링, 대창, 다인정공, 종근당, 패션그룹형지 등 중견기업 임직원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중견기업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 공급망 재편, 고환율·고물가·고금리·고유가 등 불안정한 무역 통상 현실을 지적하면서, "국가별로 상이한 관세·통관 정책 등 수출·입 규제에 원활히 대응하고, 세계 무대에서 최소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금융, 세제, 판로 등을 망라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중견기업인들은 수출 경쟁력 높이기 위해서는 전략 물자 수출 프로세스 개선, FTA 체결국과의 양허 관세 조정, 수출 기업 무역 보증 및 금융 지원 강화, 관세지급인도(Delivered Duty Paid: DDP) 등 무역 관세 거래 규칙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현장에 참석한 한 중견기업인은 "세계 반도체 경기 위축과 미국의 ‘반도체법(Chips Act)’, 전략물자 기준 강화 등으로 반도체 수출 여건이 녹록치 않다"라면서, "기업의 자구 노력에 더해 국가 차원에서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확대 등을 뒷받침할 실효적인 무역, 통상, 외교적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중견기업인들은 수출 지원 정책 및 사업 설명회 확대, 국제 전시회 참가 지원을 통한 해외 바이어와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 정책 및 사업 정보 전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말했습니다.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관은 "더 많은 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 2023년 중견기업 주간 슬로건인 ‘대한민국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월드클래스 중견기업’으로서 우리 수출의 건실한 중추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전체 수출의 17.3%, 현지 법인 보유 수출 중견기업 비중 43% 등 지표에서 보듯, 중견기업은 2022년 11월 이후 1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한 한국 수출의 핵심 견인차"라면서, "중견기업의 수출 역량 제고를 위해 애로를 적극 발굴하고, 정부·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중견기업의 원활한 글로벌 진출을 이끌 정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23-11-23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3일 상장회사회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중견기업 금융·투자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11월 셋째 주 중견기업 주간을 맞아 마련된 '설명회'에는 경인양행, 와이지-원, 풀무원 등 중견기업 재무·회계 담당자 7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설명회'는 우리은행,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등 여섯 개 민관 금융기관 전문가의 발표로 구성됐습니다.주 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대내외 경제 환경 변화와 2024년 경제 전망'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외 금융 시장 시장 동향 분석 결과와 전망을 공유했습니다.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우리은행 등 민간 금융기관은 수출입 및 외국환 주요 프로그램, 신용 보증 프로그램, 유동화회사보증(P-CBO) 활용 방안, 라이징 리더스 300 프로그램 등 중견기업 대상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중견기업의 효과적인 자금 조달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발행일 2023-11-20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13일 상장회사회관에서 '제1차 중견기업 혁신 펀드 결성식'을 개최했습니다.'결성식'에는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 제경희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 전윤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과 최민찬 SIMPAC 상무, 김정훈 에스디바이오센서, 조연호 한국카본 전무 등 중견기업인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펀드'는 중견기업의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분야에 집중 투자되는 국내 최초 중견기업 전문 투자 민관 협력 펀드입니다. 산업기술혁신기금 400억 원, 중견기업계 100억 원과 민간에서 매칭 한 500억 원을 더해 총 1,000억 원 규모로 결성됐습니다. 공동 운용사인 KB증권과 대성창업투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빌리티 등 핵심 산업군 기업을 위주로 향후 8년 간 기업당 최대 100억 원 이상 규모로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제경희 중견기업정책관은 "중견기업 역량 향상과 글로벌 전문기업 도약 지원을 위해 2027년까지 예정된 총 1조 원 규모 중견기업 전문 투자 기금을 차질 없이 조성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발행일 2023-11-20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2023년 중견기업 주간을 맞아 16일 상장회사회관에서 '중견기업 ESG 경영 확산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세미나'에는 이호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강명수 한국표준협회 회장, 구자관 삼구아이앤씨 책임대표사원, 김희용 TYM 회장 등 중견기업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본격적인 '세미나' 진행에 앞서 중견기업계의 ESG 경영 의지를 제고하고 ESG 경영의 중요성을 산업계에 확산하기 위한 '중견기업 ESG 경영 확산 선포식'이 진행됐습니다.삼구아이앤씨, 한국카본, 티와이엠, 고영테크놀러지, 한전산업개발 등 우수 중견기업 다섯 개 사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표준협회, 한국생산성본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등 네 개 ESG 경영 지원 기관 대표는 탄소중립 실현, 사회적 가치 창출, 공정·투명 윤리 경영 실천 등 ESG 경영 정착을 위한 약속을 선언했습니다.이후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고영테크놀러지, 한세실업, DRB동일 등 우수 ESG 실천 중견기업의 사례 발표 및 세계 ESG 동향 및 대응 전략 주제 강연, 1:1 맞춤형 컨설팅을 등을 통해 중견기업의 성공적인 ESG 성공 전략을 모색했습니다.
발행일 2023-11-20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5일 '중견기업 국제 협력 Meet-Up Day(밋-업 데이)'를 개최하고, 주한 외국 공관 협력에 기반한 중견기업의 다국적 네트워크 확대 지원에 나섰습니다.중견련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공동 주관한 '밋-업 데이'에서 미국, EU, 동남아시아 등 중견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제시하고, 중견기업 대상 주요국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습니다.11월 셋째 주 중견기업 주간을 맞아 개최한 '밋-업 데이'에는 동아엘텍, 선일다이파스, 우진 등 중견기업 임직원 120여 명과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열한 개국 주한대사관, 투자청, 주정부사무소 등 스물세 개 주한 외국 공관이 참여했습니다.'밋-업 데이'는 'Going Global' 슬로건 아래 이 홍 광운대학교 교수의 주제 강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의 글로벌 진출 전략 발표 및 주한 외국 공관 네트워킹 세션으로 구성했습니다.한국중견기업학회 명예회장인 이 홍 광운대학교 교수는 ‘한국 중견기업의 위치와 기여, 그리고 가야할 길’ 주제 강연에서 "2021년 결산 기준 중견기업의 약 40%가 수출 기업이고, 수출 실적을 보유한 중견기업의 약 43%는 해외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라면서, "지속적인 해외 시장 확대를 위해 지난 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중견기업 성장 촉진 전략' 등 정부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안했습니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최용은 과장은 '중견기업 해외 진출 및 수출 지원 정책' 발표에서 세계일류상품 육성 사업, 공급망 컨설팅 지원 사업, 외국인 투자 유치 지원 사업 등 여섯 개 분야 주요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공유했습니다.곽성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아세안 공급망 협력의 중요성과 협력 방향' 주제 발표를 통해 "지난해 2월 발효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한국과 아세안 지역은 중간재 공급망으로 연결된 주요 파트너"라고 강조하면서, "아세안 지역과의 성공적인 협력 및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경제 안보 강화, 미중 경쟁 심화,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 가속화, 아세안의 중국 의존도 확대 등 도전 과제를 면밀히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산업연구원의 김수동 통상전략실장은 '중견기업의 미국·EU 통상 현안과 진출 전략' 발표에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EU의 '공동이해관계 프로젝트(IPCEI)',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주요 통상 이슈를 중심으로 중견기업에 미칠 파급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습니다.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미중 갈등 지속,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세계적으로 무역 환경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마련된 이번 '밋-업 데이'가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중견기업의 또 다른 도약대이자 다국적 협력 강화의 첫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라면서, "중견련은 중견기업의 최종 목표인 '글로벌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 유관기관, 주한 외국 공관과 더욱 긴밀히 소통·협력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행일 20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