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중견기업 경기전망 코로나19 확산 이후 첫 반등

  • 2020-09-27

중견기업 경기전망 코로나19 확산 이후 첫 반등
중견련, '2020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 발표
경기전망지수 3.2p 증가, 수출, 내수 등 자동차 부문 중심 회복 기대 확산

 

□ 코로나19 확산 이후 경기 회복에 대한 중견기업의 전망이 처음으로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8월 31일부터 9월 11일까지 중견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0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는 78.4를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3.2p 증가한 수치다.

  ◦ 2017년 3분기 조사 시작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3분기 전망지수(75.2)의 기저효과인 측면도 있겠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을 감안할 때 중견기업의 경기 회복 기대감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고 중견련은 설명했다.

 

□ 업종별로는 제조업 부문이 전분기 대비 9.3p 상승한 80.1을 기록하면서 전체 지수 반등을 견인했다.

  ◦ 자동차(101.9, 35.2p↑), 화학(73.9, 13.9p↑) 등 업종의 경기 개선 전망에는 '국내 수요 증가(70.0%)', '해외 수요 증가(60.0%)' 등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자동차 업종의 경우 가장 많은 응답자가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생산 재개에 따른 '해외 수요 증가(87.5%)'를 가장 큰 경기 개선 요인으로 꼽았다.  

  ◦ 비제조업 부문에서는 건설(88.3, 8.6p↑), 부동산·임대(76.6, 4.5p↑) 등 일부 업종의 지수는 상승했지만, 운수(74.4, 13.4p↓), 출판·통신·정보(70.3, 10.0p↓)등 업종의 부진 전망이 다소 높아 업종 전체로는 전기 대비 0.8p 소폭 하락한 77.2에 그쳤다.

 

□ 내수전망지수는 79.0으로 전분기 대비 1.2p 상승했고, 수출전망지수는 77.0으로 4.9p 높아졌다. 

  ◦ 내수전망지수는 전자부품(89.1, 6.4p↓) 업종을 제외한 모든 제조업 부문에서 상승했지만, 비제조업 부문은 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업종 간 차이를 보였다.

  ◦ 수출전망지수는 제조, 비제조업 부문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건설(100.0, 30.0p↑), 자동차(95.5, 42.4p↑), 1차 금속(62.7, 7.3p↑) 업종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 영업이익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3.2p 상승한 78.5로, 자동차(94.2, 33.1p↑) 업종의 상승세가 가장 컸다. 

  ◦ 운수(72.1), 식음료품(66.7) 업종에서는 각각 21.1p, 18.1p 하락했는데, 코로나19로 인한 여객·화물 수송, 외식 수요 감소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중견련 관계자는 설명했다.

 

□ 제조업생산전망지수는 81.6으로 전기 대비 7.5p 증가했다. 자동차 업종이 2018년 4분기 이후 최고치인 98.1을 기록하면서 상승세를 견인했다.

 

□ 제조업생산설비전망지수는 전자부품(97.8, 18.3p↑), 1차금속(87.2, 6.0p↑) 업종이 상승세를 이끌면서 2019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반등했다.

 

□ 중견기업의 경영애로요인은 '내수 부진(62.6%)', '업체 간 과다경쟁(33.6%)', '인건비 상승(32.2%)', '수출 부진(24.8%)' 등 순으로 조사됐다.

  ◦ 모든 업종의 첫 번째 경영애로는 '내수 부진', 제조업 부문에서는 '수출 부진', 비제조업 부문에서는 '업체 간 과다경쟁'을 각각 2순위로 꼽았다.

 

□ 반원익 상근부회장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중견기업의 경기 전망이 반등한 것은 최악의 경제 상황에서 체감하는 절박함, 또는 간절한 희망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라면서, "정부는 효율적인 재정 운용과 외교적 교섭 확대 등을 통해 내수와 수출 회복의 현실화를 위해 진력하는 한편, 업종에 따른 경기 전망 편차의 의미를 살펴 효과적인 맞춤형 정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반 부회장은 "코로나19는 모두 힘을 모아 극복해야 할 절체절명의 과제이지만 우리 사회의 안정된 미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기 이후를 준비하는 노력 또한 차분하고 치밀하게 병행되어야 할 것"이라면서, "최악의 상황을 토로하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근원적으로 기업 활력을 제고할 합리적인 법·제도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부와 국회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주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