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중견련은

2023년 하반기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 2023-07-24

 

 

중견기업의 74.0%가 올해 하반기 수출 실적이 상반기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특히 10% 이상 증가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2.0%에 달했습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4일 '2023년 하반기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중견기업들은 수출 확대 전망 요인으로 '경기회복(47.3%)', '신규 진출 지역 매출 신장(26.4%)'에 대한 기대감을 꼽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90.0%), 기계·장비(80.0%), 도·소매업(78.6%), 식·음료품(77.8%), 전자부품·통신장비(75.0%) 등 순으로 수출 확대를 전망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습니다.

조사는 6월 12일부터 7월 4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123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수출 실적 감소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6.0%로 집계됐습니다. '글로벌 경기둔화 지속(75.0%)', '통관·인증 등 무역 장벽(9.4%)', '원자재 가격 상승(9.4%)'에 대한 우려가 주된 요인으로 확인됐습니다.

수출 실적 감소를 막기 위해 중견기업들은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53.1%)', '수출국 다변화(34.4%)' 등 전략을 활용하면서 자체 수출 경쟁력 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규투자를 축소하겠다는 기업은 3.1%에 불과했습니다. 

중견기업의 77.2%는 최소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8.2%), 중국(15.4%), 일본(11.4%), 베트남(10.6%), 유럽(8.9%) 등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수출국에서 경험하는 애로로는 '통관 등 행정 규제(30.1%)',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해당국 수입 규제(22.8%)', '현지 법률 정보 부족(17.9%)', '인증 등 기술 규제(16.3%)' 등이 꼽혔습니다.

중견기업 수출 시장 1순위인 미국에서는 '통관 등 행정 규제(25.5%)', '해당국 수입 규제(25.5%)', '현지 법률 정보 부족(25.5%)' 등의 수출 애로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통관 등 행정 규제'가 중국(45.0%)과 동남아시아 및 인도(35.0%)의 1순위 수출 애로로 확인됐습니다. 

수출 중견기업의 46.3%는 신규 시장 진출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중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하반기를 목표라고 밝힌 기업은 약 3분의 2에 달했습니다.

중견기업인들은 '기존 시장 포화(36.8%)', '신사업 확대(19.3%)', '전략적 입지 확보(17.5%)', '거래사와의 협업 강화(17.5%)' 등을 신규 시장 개척 이유로 꼽았습니다.

신규 진출 목표 시장으로는 유럽(15.8%), 미국(14.0%) 등 이외에 베트남(15.8%)과 중국(12.3%), 인도(12.3%), 인도네시아(12.3%) 등 아시아 지역 국가들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왔습니다.

중견련 관계자는 "최근 중국과의 교역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거대한 단일 수출 시장으로서 중국에 대한 중견기업의 진출 의지는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신규 진출 시장에 대한 정보량이 '부족하다(47.4%)'는 응답은 '충분하다(8.8%)'는 응답의 다섯 배를 상회했습니다.

중견기업들은 신규 진출 시장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해 '해외 진출 컨설팅(45.6%)', '설명회 및 세미나(35.1%)'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중견련 관계자는 "57.9%의 중견기업이 신규 진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주로 현지 바이어에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라면서, "해외 시장 진출과 성과 제고를 위해 정확한 현지 정보가 필수적인 만큼, 정부의 통상·외교 부문 채널을 활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견기업인들은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 '보증 등 무역 금융 확대(26.1%)', '공급망 지원 강화(25.2%)', '수출 마케팅 지원(13.0%)' 등을 꼽았습니다.

중견련 관계자는 "연속적인 투자를 통해 성장 동력을 재생하는 중견기업 특성 상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경직적인 무역 금융 정책은 중견기업의 가능성을 위축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많은 중견기업이 1, 2차 벤더로서 원자재를 최초로 수입하는 위치에 있는 만큼 공급망 불안정은 중견기업에 가장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다"라면서, "공급선 다변화, 자체 기술 혁신, 소재·부품 재고 확보 등 중견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실효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동남아시아 수출 중견기업은 '보증 등 무역 금융 확대', 중국·일본 수출 중견기업은 '공급망 지원 강화'를 1순위 정책으로 지목했습니다.

특히 제조업 부문에서는 자동차, 전자부품 중견기업이 '보증 등 무역금융 확대', 식·음료품, 화학물질·제품 중견기업은 '공급망 지원 강화' 지원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7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수출 전망 지수가 3분기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데 이어, 이번 조사에서도 모든 업종의 수출 중견기업이 하반기 수출 실적 확대를 전망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면서, "전체 기업의 1.4%에 불과한 중견기업이 총 수출의 17.3%를 담당하는 만큼, 무역 금융 확대, 공급망 및 물류 지원, 해외 시장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등 중견기업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