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뉴스

2025년 중견기업 첫걸음 지원 정책 설명회

2025-07-16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6일 라이즈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2025년 중견기업 첫걸음 지원 정책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설명회'는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초기 중견기업과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을 앞둔 예비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중견기업 맞춤형 지원 정책·제도를 소개하고, 실효적인 애로 해소 및 지속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설명회'에는 미래컴퍼니, 선익시스템, 세프라 등 중견기업과 굿모닝아이텍, 신한에스엔지, 정우통상, 파크시스템즈 등 예비 중견기업 임직원 5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중견기업 첫걸음 지원 정책 설명회'는 조세·금융·R&D·해외 진출·인력 등 부문별 중견기업 특화 지원 정책 및 사업 공유를 통해 초기·예비 중견기업의 연착륙을 뒷받침하기 위해 2022년 중견련과 산업부 주도로 출범했습니다.

올해 '설명회'는 '중견기업 진입 이후, 조세 제도 변화 대응 전략' 주제 전문가 강의를 비롯해 중견련,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일곱 개 기관의 지원 사업 발표와 질의 응답으로 구성했습니다.

김신희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는 '중견기업 진입 이후, 조세 제도 변화 대응 전략' 주제 강의를 통해 연구개발·투자 촉진·고용지원 등 초기 중견기업 대상 세액 공제 및 조세 특례 제도 활용 방안을 설명했습니다. '2023년 중견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중소기업 회귀 검토 1순위 요인으로 '중소기업 대상 조세 혜택(60.8%)'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2023년 중견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은 301개인데 비해 중견에서 중소로 회귀한 기업이 574개, 중소기업 회귀를 검토한 중견기업 비율은 전년(5.3%) 대비 0.8%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라면서, "중소기업 이상 매출을 3년간 유지하고, 수년의 유예기간을 버텨낸, 초기 중견기업들이 이른바 '제도 절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도록, 성장사다리의 원활한 작동을 촉진하는 법·제도·정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