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상장 중견기​업 전년 동기 대비 2분기 성장성 약화

  • 2025-10-16
상장 중견기업 전년 동기 대비 2분기 성장성 약화
16일 중견련, '2025년 2분기 상장 중견기업 경영 분석' 결과 발표
상장 중견기업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 전년 동기 대비 동반 하락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등 안정성 지표 혼조

□ 올해 2분기 상장 중견기업의 성장성이 전년 동기 대비 약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상장 중견기업 경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상장 중견기업의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증가율(0.9%)과 총자산증가율(2.1%)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p, 4.4%p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 제조업 분야 매출액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7%p 줄어든 1.4%, 유동자산 감소*에 따라 총자산증가율은 4.4%p 하락한 2.8%를 기록했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 2조 3,788억 원, 매출 채권 1,817억 원 감소

    - 비제조업 분야 매출액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7.9%p 낮아진 -0.2%, 총자산증가율은 4.1%p 감소한 0.8%로 확인됐다.

 ◦ 이번 분석은 2023년 결산 기준 상장 중견기업 992개 사의 2024년 2분기~2025년 2분기 재무정보에 기반해 진행됐다. 

□ 상장 중견기업의 2분기 수익성 지표도 하락했다. 

 ◦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2%로 전년 동기 대비 0.1%p 줄었고, 이자수익, 배당금수익과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거래이익이 감소*하면서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2.1%p 낮아진 6.1%로 집계됐다.
* 외환차익 2,232억 원, 외화환산이익 4,747억 원 감소

   - 제조업 분야 매출액영업이익률은 0.1%p 상승한 5.9%,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2.1%p 하락한 5.6%로 나타났다.

   - 비제조업 분야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1%로 0.4%p 감소했고,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7.4%로 2.0%p 하락했다.

□ 상장 중견기업의 부채비율(65.4%)은 전년 동기 대비 1.1%p 감소한 반면, 차입금의존도(13.4%)는 0.1%p 증가했다.

   - 제조업 분야 부채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0.7%p 줄어든 66.6%, 비제조업은 1.8%p 줄어든 63.0%로 확인됐다. 

   - 차입금의존도는 제조업 분야에서 0.1%p 하락한 13.8%로 분석된 데 반해, 비제조업 분야는 0.6%p 증가한 12.5%를 기록했다.  

 ◦ 중견련 관계자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이익잉여금 등 자본이 증가하면서 부채비율이 개선됐지만, 부채 구성에서 장·단기차입금이 늘어나면서 비제조업의 재무구조 안정성은 다소 약화한 것으로 분석됐다"라고 덧붙였다.

□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수익성과 성장성이 약화하는 상황에서 상장 중견기업이 부채비율을 줄여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현상은 결과를 가늠하기 어려운 미국 관세 협상 등 불안정한 경제 환경에 대한 우려를 드러낸다"라면서, "'진짜 성장'의 불가역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실용 외교에 총력을 기울여 APEC을 계기로 무역·통상 환경의 안정성을 확고히 다지는 한편, 중견기업 전용 신용보증기금 계정 설치 및 보증 한도 확대 등 전향적인 금융 지원을 통해 비제조업을 비롯한 중견기업의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혁신을 견인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